본문 바로가기

치료실에서의 기록37

근막통증증후군(MPS) 진단의 기준은 무엇입니까? 연부조직 도수치료와 관련된 다양한 가설과 이론들이 존재하고 있더. 가장 흔한 예시로 근막 활주를 증진 시키기 위한 근막이완술 또는 상처조직과 유착을 해체하기 위한 능동이완기법, 심부마찰마사지 이외에 오래전부터 치료사들이 익숙히 듣고, 배워왔던 통증유발점(Trigger point)을 해결하기 위한 허혈성 압박 등 다양한 치료적 방법들이 존재한다. 과거 겉으로 멀쩡해 보이는 사람의 특정 피부 영역에서 나타나는 통증의 원인은 수 세기 동안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고, 이 현상이 무엇에 의한 것인지 궁금증이 커질 수 밖에 없었다. 여러 연구자 및 의사들에 의해 이러한 통증의 원인은 섬유염(fibrositis), 근육통(myalgia), 신경통(neuralgia) 등으로 해석되었으나, 이러한 내용을 제시한 가설을 뒷.. 2022. 11. 9.
허리 디스크로 인해 숙이는 동작이 두려운 사람을 위한 글입니다. 지속적인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을 위한 생체∙심리∙사회적 모델 기반 접근 치료 일반적으로 인대, 힘줄, 뼈, 근육, 근막, 신경 등등 신체를 이루고 있는 구조물 및 조직이 손상된 후 회복이 이루어지는 시기를 보통 6주~12주 정도로 생각하며, 이러한 기간이 지났는데도 불구하고 통증이 계속 나타난다면 기간적으로만 분류하였을 때 이를 만성 통증이라고 한다. 3개월 이상 지속되는 통증을 만성 통증이라고 분류하지만, 이는 기간에 의한 통증 분류이며, 이러한 6~12주라는 기간은 대부분 동물 연구에 근거하며, 실제 병원에서 인대, 근육 손상 그리고 골절 또는 비특이적 요통으로 인해 3개월 이상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분들이 매우 많다. 모든 환자가 인체를 이루고 있는 구성물들의 회복 기간이 12주 이내에 통증이.. 2022. 11. 3.
환자들의 통증이 밤에 더욱 심해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대한민국 근골격계 물리치료사 '구경현'입니다. 오늘은 염증(inflammation)이 밤에 심해지는 이유에 대해서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많은 근골격계 질환(석회성 힘줄염, 회전근개 힘줄염, 관절염, 유착성 관절낭염, 급성 염좌 등)들을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일부 염증(inflammation) 반응에 의한 통증(pain)과 증상(symptom)이 나타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증상이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는 급성(acute) 통증 같은 경우에는 통증의 원인이 되는 조직에 발생한 염증 반응과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초기 며칠 동안은 진통 소염제 또는 휴식 및 간단한 치료를 통해 결과를 지켜보는것이 일반적입니다. 많은 연구에서 통증의 분류를 다양하게 소개하고.. 2022. 11. 1.
관절에 발생하는 유착은 그리 만만한 것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근골격계 물리치료사 '구경현'입니다. 요즘 여러모로 처리해야 할 많은 일들이 있다는 핑계로 글을 적는 빈도가 줄어들었습니다. 정리하고자 하는 내용은 수없이 많고, 분명 정리 중인데도 마무리 하는 게 쉽지 않네요. 현재 네이버 블로그에 있는 글들을 수정 및 가공하여 업로드하는데도 불구하고 시간이 꽤 오래 걸리네요.. 본론으로 들어가 벌써 시간이 흘러 '유착성 관절낭염 진단과 물리 치료적 관리' 라는 주제로 강의를 진행한 지 10회차가 되었습니다. 현재 진행하는 교육에 대한 여러 피드백이 있었지만, 많은 경우 교육을 듣고 환자를 보는 두려움이 줄어들고 물리 치료적 중재에서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잡혔다는 것입니다. 또한, 교육 과정에 포함된 실제 관절 내부의 유착을 해결.. 2022.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