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료실에서의 기록

근골격계 통증 치료 과정에서 가장 최선(Best)의 방법은 무엇인가?

by Gu Physical Therapy 2024. 1. 28.

근골격계(MSK) 통증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유병률과 장애의 주요 원인이며, 막대한 사회전 예산이 소요되고 있다.

이러한 부담의 원인 중 하나는 바로 열약한 의료 서비스이며, MSK 통증에 대한 일반적인 의료 문제는 영상의학적 검사의 남용, 수술, 마약성 진통제 처방 및 적절한 환자 교육과 조언이 제공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과학적 증거와 임상의 격차는 의료 자원을 낭비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질 좋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기초 중 하나는 바로 임상 실무 지침(CPGs)를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지침서는 체계적인 증거 검토와 치료 옵션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환자에게 제공하는 치료를 최적화하기 위한 권장 사항을 포함하는 문서를 의미한다.

임상 및 환자 의사 결정 안내, 치료 표준화의 역활, 임상 의사 결정 지원 개발 및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고품질 임상 진료 지침에서 제시하는 11가지 일관된 권장 사항은 아래와 같다.

1. 진료 및 치료는 환자 중심(Patient centered)이 되어야 하며, 환자의 개별적인 상황에 반응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사용하여야 한다.

2. 심각한 병리적 상황(Red flag)을 가지고 있는지를 우선적으로 선별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Ex) Suspicion infection, malignancy, fracture, inflammatory cause of pain, severe and progressive neurologic deficit (including cauda equina syndrome)

3. 심리사회적(Psychosocial) 요인을 포함한 평가를 진행해야 한다.

허리 통증, 목 통증, 골관절염, 회전근개 장애 등 9개의 CPG에서 심리사회적 요인 평가를 권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에는 기분 및 감정(우울과 불안), 두려움, 움직임 공포증 및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포함되며, 2개의 요통 CPG에서는 심리적 요인 평가에 있어 'STarT Back' 검사를 권장

4. 다음과 같은 경우를 제외하고 영상 검사를 권장하지 않는다.

1) 심각한 병리적 문제가 의심되는 경우
2) 보존척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설명할 수 없는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3) 검사 후 치료의 방향성이 바뀔 가능성이 있는 경우

5. 진단 과정에서 신경학적 선별 검사, 가동성 또는 근력 평가를 포함하는 신체 검사(P/Ex)가 이루어져야 한다.

6. 결과 측정(Outcome measures)의 사용을 포함하여 치료에 대한 환자의 경과를 평가해야 한다.

7. 환자 개인의 상태, 치료 과정 및 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과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8. 신체 활동(Physical activity) 및 치료적 운동에 관한 관리 방법들이 포함되어야 하며, 모든 CPGs에서 활동/운동과 관련된 제안 사항을 포함하였다.

9. 가급적이며 도수치료는 다른 증거 기반 치료의 보조 수단(복합 중재)으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단독으로 활용되는 도수치료보다 운동, 심리, 교육 및 신체적 활동과 관련된 조언이 포함된 복합 중재를 권장한다.

10. 특별한 금기증이 보이지 않는다면, 수술 전 근거에 입각한 보본적 치료를 먼저 시도하는 것을 추천한다.

예시) RC disorder와 같은 경우 3개월 동안 보존적 치료에 효과가 미비하며, 영상 검사에서 완전 파열 소견이 관찰될 때 수술을 고려하여야 한다.

11. 이전의 활동과 일(Work)을 지속 또는 재개할 것을 추천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