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료실에서의 기록37

오십견 재활 치료를 위한 임상 지침서(CPG) 업데이트 버전! 안녕하세요. 근골격계 물리치료사 구선생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글을 쓰게 되었는데, 오늘은 저의 주요 관심 분야인 오십견(동결견, 유착성 관절낭염)과 관련되어 2021년 Indian Journal of Orthepeadisc에 발간된 [Clinical Guidelines in the Management of Frozen Shoulder : An Update] 자료를 독자들에게 공유하고자 합니다.  [ INTRODUNCTION ]어깨 통증과 관련된 많은 질환중에서 오십견(동결견, 유착성 관절낭염)은 용어 확립에서부터 최적의 치료 방법과 예후까지 가장 많이 논의되어 왔다. 동결견(Frozen shoulder)과 유착성 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이라는 두 용어는 상당히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지만.. 2024. 7. 29.
근골격계 통증 치료 과정에서 가장 최선(Best)의 방법은 무엇인가? 근골격계(MSK) 통증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유병률과 장애의 주요 원인이며, 막대한 사회전 예산이 소요되고 있다. 이러한 부담의 원인 중 하나는 바로 열약한 의료 서비스이며, MSK 통증에 대한 일반적인 의료 문제는 영상의학적 검사의 남용, 수술, 마약성 진통제 처방 및 적절한 환자 교육과 조언이 제공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과학적 증거와 임상의 격차는 의료 자원을 낭비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질 좋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기초 중 하나는 바로 임상 실무 지침(CPGs)를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지침서는 체계적인 증거 검토와 치료 옵션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환자에게 제공하는 치료를 최적화하기 위한 권장 사항.. 2024. 1. 28.
견봉하 충돌 모델에 대한 반증 : 시대의 종말(The End of an Era) 어깨 통증은 흔한 근골격계 질환 및 증상을 의미하며, 임상에서 Orthopedic PT들이 많이 접하는 부위이다. 대부분 급성 염증성 질환은 열,전기와 진통소염제를 복용하며, 그 결과를 지켜보지만 급성 석회성 건염, 유착성 관절낭염과 같이 통증으로 인해 일상 생활에 큰 지장이 있는 경우 주사 치료가 같이 병행된다. 사실 PT들이 가장 많이 접하는 어깨 통증 환자는 대부분 수술 후 재활(회전근개 봉합술, 견봉성형술), 유착성 관절낭염 그리고 견봉하 통증(충돌) 증후군이 지배적이다. 오늘은 견봉하 충돌 증후군이 아닌 '견봉하 통증 증후군' 또는 '회전근개 관련 어깨 통증'이라는 용어를 지원해야 한다는 개념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1972년에는 굉장히 많은 일이 있었던 해이다. 저는 실제 그 시대의 삶을 직접적.. 2024. 1. 26.
견갑하근(SSc)이 동결견에 미치는 영향 팩트 체크! 간혹 서적이나 SNS에 올라온 글을 보면 견갑하근(Subscapuris)의 단축이 유착성 관절낭염(동결견)을 만든다고 적혀 있는 경우가 있고, 견갑하근(SSc)을 풀어서 늘려줘야 하는 내용 또한 포함되어 있다. 외회전 가동범위 또는 상지 기능 회복을 위해 견갑하근(SSc)에 적용되는 연부조직가동술을 비판하고자 하는 건 아니지만, 질병(Disease)이 발생하는 이유를 단지 근육학적으로만 설명하는 것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 유착성 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 환자들의 많은 경우가 신체적 검사(P/Ex)에서 외회전 가동범위의 제한이 보이고 이를 해부학적으로 견갑하근의 단축이 그럴듯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유착성 관절낭염 병리학 요인에서 견갑하근(SSc)에 대한 내용.. 2023. 12. 5.